- 백엔드 개발자로서 갖춰야 할 기반 지식을 갖춘다. 특히 실무에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만큼 깊이 있고 확실한 역량을 갖춘다.
- 좋은 기회/소식이 있으면 공유할 수 있는 친밀한 유대관계를 만든다. (네트워킹 적극 권장!)
- 일주일에 1번 온라인으로 미팅을 합니다! 매주 화요일 오후 9시 ~ 10시 30분 (90분)
- 11/18(1회차) ~ 12/23(6회차)로 총 6번 진행합니다.
- 스터디 끝나고 네트워킹 목적으로 만나서 밥 한번 먹어요! (필수X)
- 각자 한 조각씩 가져가서, 그 조각에 대해서는 자료 준비, 공유까지 오너십을 가지고 진행합니다! (일주일에 한 사람이 한 조각씩 진행 x 6번)
- 따라서 가급적 불참은 없었으면 합니다! 본인이 진행하는 날 불참 예정이시라면 미리 스터디 일정을 바꿔보아요!
- 본인의 챕터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자료 준비를 합니다.
- 공유합니다. 공유 방식은 진행자 마음대로! 발표를 하셔도 되고, 발표를 시켜도 되고, 퀴즈를 준비해 주셔도 되고, 관련 주제에 대해 토론을 해봐도 좋습니다.
- 챕터와 무관하게 좋은 글을 발견하면 슬랙 채널에 맘껏 공유해 주세요! 함께 성장해요!
- 스터디 자료는 여기에 업로드 부탁드립니다! 코드 예시가 있으면 더욱 좋습니다!
- 각 회차마다 한 분이 '중요함' 챕터 1개 + '덜 중요함' 챕터 1개를 묶어서 진행합니다.
- 예시:1회차 담당자: Ch2(중요함) + Ch11(덜 중요함)
- 이렇게 하면 핵심 내용은 꼼꼼히 다루면서도, 폭넓은 주제를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어요!
제가 목차를 보고, 실무 중요도를 따져봤을 때 중요함/덜 중요함 챕터를 구분해봤어요.
중요함
- Ch2: 느려진 서비스, 어디부터 봐야 할까
- Ch3: 성능을 좌우하는 DB 설계와 쿼리
- Ch4: 외부 연동이 문제일 때 살펴봐야 할 것들
- Ch5: 비동기 연동,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
- Ch6: 동시성, 데이터가 꼬이기 전에 잡아야 한다
- Ch7: IO 병목, 어떻게 해결할지
덜 중요함
- Ch8: 실무에서 꼭 필요한 보안 지식
- Ch9/Ch10: 최소한 알고 있어야 할 서버 지식/모르면 답답해지는 네트워크 기초
- Ch11: 자주 쓰는 서버 구조와 설계 패턴
- Apdx-A: 처음 해보는 성능 테스트를 위한 기본 정리
- Apdx-B: NoSQL 이해하기
- Apdx-C: DB로 분산 잠금 구현하기
참고로, 이 방식을 선택하게 된 배경을 간단히 설명하면!
- 모두가 모든 챕터를 깊이 있게 파악하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요. (모두가 바쁜 사람들이니!!)
- 담당자를 정해서 깊이 있게 파고, 공유를 하면 빠른 시간에 집단 지성을 이룰 수 있을거라 생각해요.
- 각자 챕터가 다르더라도, 본인 챕터가 아니더라도 책임감있게 학습하고 공유할 것이라 신뢰하기 때문이에요.
- 11/18 (화) : 진성
- Ch4: 외부 연동이 문제일 때 살펴봐야 할 것들
- Ch9/Ch10: 최소한 알고 있어야 할 서버 지식/모르면 답답해지는 네트워크 기초
- 11/25 (화) : 정수
- Ch5: 비동기 연동, 언제 어떻게 써야 할까
- Ch8: 실무에서 꼭 필요한 보안 지식
- 12/4 (목) : 근영
- Ch6: 동시성, 데이터가 꼬이기 전에 잡아야 한다
- Apdx-C: DB로 분산 잠금 구현하기
- 12/9 (화) : 영재
- Ch3: 성능을 좌우하는 DB 설계와 쿼리
- Ch11: 자주 쓰는 서버 구조와 설계 패턴
- 12/16 (화) : 인국
- Ch2: 느려진 서비스, 어디부터 봐야 할까
- Apdx-A: 처음 해보는 성능 테스트를 위한 기본 정리
- 12/23 (화) : 지수
- Ch7: IO 병목, 어떻게 해결할지
- Apdx-B: NoSQL 이해하기